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

 

도현의 어머니가 다녀왔다는 세상의 끝에 가본 적이 있다. 2016년 파리 생활을 마칠 즈음이었다. 800여 킬로미터 순례의 목적지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를 넘어, 삼 일 정도 더 가야하는 곳이다. 걸어서 다다라야 하는 곳에 나는 비행기로, 버스로 갔다. 그냥 궁금했다. 그때의 나는 알고 싶었다. 사람들은 왜 세상의 끝 같은 곳에 가고 싶어 하는지, 거기서 쉰내나는 자기 옷가지를 태우며 눈물을 흘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그 이유를 알아내지 못했다. 제 발로 걸어서 그곳에 다다르지 않은 자에게는 답을 허락하지 않는 곳이었다. 여러 가지 짐작할 수는 있어도, 어떤 것도 확신할 수 없었다. 옷가지 타는 냄새를 맡고, 지는 태양 앞에 이어지는 사람들의 울음소리를 듣고, <세상의 끝>이라 쓰인 엽서를 샀다. 그리고서 파리로 돌아갔다. 며칠 후 짐을 싸서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를 탔다. 그때 내게 세상의 끝은 파리였는데, 그 말을 믿어주지 않을 사람들에게 대신 전해줄 좋은 이야깃거리가 생겼다고 생각했다.

내게 이 작업은 <세상의 끝>에 다녀온 경험과 유사하다. 처음 작업 의뢰를 받았을 때만 해도 이렇게 몸집을 키워 나갈 것이라고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두려움이 커졌다. 작업자인 나조차 쉽게 이해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느라 며칠 밤을 지새웠는지 모르겠다. 엄마를 논하기 위해 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지, 이런 방식의 글쓰기가 인터뷰이의 삶을 몇 자로 축약해버리는 것은 아닌지 혹은 실제보다 더 감상적으로 굴어 확장해버리지는 않는지. 그런 것들이었다. 이후 나는 이런 판단을 내렸다. 결과물을 내기에 앞서 이유를 고민하기보다, 이와 같은 우려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원칙을 세우자고. 첫 번째는 이미 공고한 가치에 동조하는 이야기는 쓰지 않겠다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쓸데없는 위로와 감상적인 말로 지면을 채우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를 지키고자 최대한 노력했지만, 백 퍼센트 성공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작업에 대해 스스로 던졌던 질문에는 답을 찾지 못했는데, 내가 걷지도 않고서 세상의 끝에 가고 싶었던 진짜 이유를 찾게 되었다. 세상의 끝은 나의 끝이며, 내가 끝나면 세상도 끝난다. 2016년 세상의 끝에 이른 기분이었던 나는 다른 사람의 끝도 보고 싶었다. 쉰내, 타오르는 연기, 조용한 울음 소리 같은 장면. 그 속에서 이야기를 읽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름다운 도시가 세상의 끝이었다고 말하면 믿지 않을 사람들이 너무도 많아서, 다른 이야기를 빌려 와야 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인터뷰를 받아보고, 그들의 삶을 다시 이야기로 쓰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우습게도 얼굴 한 번 마주보지 못한 그들을 너무나 사랑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마음이 여태 나를 힘들게 한다. 때문에 바라건대,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글을 덮어놓았으면 한다. 나는 당장의 내가 더 쓸 수 없을 때까지 썼다. 각각의 이야기들이 닿을 수 있는 끝에 이르렀기를 바란다. 그 자리에서 다시 삶이 시작되었으면 좋겠다. 모든 인간의 삶은 구술된 이야기를 넘어 실재한다. 나는 이야기를 사랑하지만, 애석하게도 그것이 인간을 구원할 수는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이야기가 된 삶은, 특히 기이하고도 독특하고 불가해한 삶에 대한 이야기는 힘을 갖고 있다. 누군가 그들의 삶 혹은 이야기를 읽었을 때,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 이해해보려는 용기가 생기기를 바란다. 용기는 의지로, 의지는 삶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므로.

 “내 삶도 이야기고, 네 삶도 이야기야. 성경도 이야기야. 모든 걸 이야기라고 생각하렴. 사람은 이야기가 있으면 살 수 있단다.”어느 오후에 그 말을 들었다. 지금의 내 기분을 그것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말이 없어서, 빌려올 수 밖에 없었다.

 

'Apostles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6  (0) 2018.05.30
No.2  (0) 2018.03.02
No.1  (0) 2018.03.02
No.4  (0) 2018.03.02
No.3  (0) 2018.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