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 Picasso voyage a Paris pour la premiere fois et s’y installe en onctobre en meme temps que son ami, l’artiste Cosagemas, don't le suicide marque le debut de la periode blueue..

 

 

*한 벽면에 비슷해보이는 세 그림이 걸려 있었다. 그 중 하나에는 ‘2,1,55’ 일자의 사인이 그려져 있었다. 피카소는 12일 같은 날에, 모두들 새로운 계획을 세우는 그런 날에 이전부터 그려온 그림을 완성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이렇게 같은 소를 다른 모양으로 바꾸는 세 편의 연작을 의도했을까. 그림은 6일과 10일 간격으로 하나씩 완성되었다. 선밖에 남지 않은 황소에게도 같은 양의 그림자를 그려준 것이 눈에 띄었다. 1900년에 죽었다는 그의 친구 이야기를 접하고 나자, 저 소나 소의 그림자 모두 그의 친구처럼 보였다. 그가 붓터치 어디에나 그의 친구가 따라다녔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 그가 별달리 신경 쓰지 않고서 만든 가이드라인 같은 것일지도 모른다. 그는 이미 그 전부터 윤곽이 강조된 그림을 그려왔으니까. 어쩌면 후대에 이 그림을 보고 있을 나 같은 사람을 두고 장난을 쳐놓은 걸지도 모른다.

 

 

**사람들이 내게 무엇을 원하는지, 어떤 이미지를 기대하는지 확실히 알고 난 이후에 생산하는 것들. 나는 50, 60년에 피카소가 그린 것들을 본다. 그런데 거기에는 윌리엄 터너나 르누아르, 모네에게서 보이던 어떤 독특한 종류의 인상은 없다. 그림의 여자들은 르누아르처럼 지루해하지도, 모네의 수련처럼 모든 색을 먹어버리지도, 터너의 흐린 하늘처럼 거장의 색채처럼 보이게 해줄유리가 씌었다는 인상도 없다.

 

 

***나는 43년 이후 시 같은 것은 쓴 적이 없어.’

1895. L'homme à la casquette

그 유명한 천재의 어린 시절, 열다섯에 그렸다는 유화였다. 그림은 상대적으로 작았고 색채 또한 어두웠다. 바로 옆에는 <Maternite>라는 71년에 완성한 그림이 있었다. 컸고, 초록과 잿빛으로 가득했다. 80년의 시간이 30cm의 간격을 두고 걸렸다. 나는 피카소가 어릴 적 배운 대로, 그러니까 1890년대의 붓질로 그리고 싶은, 그릴 수 있는 사람이 이후 그에게 있었는지 궁금해졌다.

 

 

****스물 한 살 여름, 1901년 여름, 그는 친구 Casagemas의 죽음 이후 진녹빛 수도관 같은 색으로 그의 얼굴을 그렸다. 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흔들렸다. 피카소의 ‘Bleue’period라고 일컬어지는 시기 역시, 다른 어떤 화풍 보다도 어쩌면 그가 아주 많이 흔들렸다는 사실이 더 중요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피카소는 1905년부터 여자를 그릴 때 돼지에게서나 찾아볼 법한 분홍색을 썼다. 나는 그것이 여자를 화나게 했을 거라 생각했다. 그리고 결국 그녀는 피카소를 떠났다. 아무리 대단한 예술가의 뮤즈가 된다고 해도, 돼지를 그릴 때나 쓰는 분홍색으로 아내를 바라보는 것을 참을 여자는 세상에 없기 때문에.

1905, 그날 이후로 그는 더이상 예전 같은 그림은 그리지 않았다. 그러니까, 말하자면 그 여자가 마지막이었다. 그때부터 그는 정말로 그림다운 그림만 그리기 시작한 것이다. 성공하기 위해서, 유명해지기 위해서, 그리고 돈을, 벌기 위해서. 그때쯤 친구는 죽고 여자도 떠나 주었다. 마침 그런 일이 일어났기 때문에 시작할 수 있었을까. 딱 한 번 예외가 있었다면 1918년에 그린 Olga의 초상화였다. 그녀는 성공을 위해 쓰이기엔 너무도 예쁘고 사랑스러웠으며, 필요 이상으로 친밀한 여자였을지도.

반응형

'Those day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décembre 2015  (0) 2018.06.20

어떤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다는 것

 

도현의 어머니가 다녀왔다는 세상의 끝에 가본 적이 있다. 2016년 파리 생활을 마칠 즈음이었다. 800여 킬로미터 순례의 목적지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를 넘어, 삼 일 정도 더 가야하는 곳이다. 걸어서 다다라야 하는 곳에 나는 비행기로, 버스로 갔다. 그냥 궁금했다. 그때의 나는 알고 싶었다. 사람들은 왜 세상의 끝 같은 곳에 가고 싶어 하는지, 거기서 쉰내나는 자기 옷가지를 태우며 눈물을 흘리는 이유가 무엇인지.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는 그 이유를 알아내지 못했다. 제 발로 걸어서 그곳에 다다르지 않은 자에게는 답을 허락하지 않는 곳이었다. 여러 가지 짐작할 수는 있어도, 어떤 것도 확신할 수 없었다. 옷가지 타는 냄새를 맡고, 지는 태양 앞에 이어지는 사람들의 울음소리를 듣고, <세상의 끝>이라 쓰인 엽서를 샀다. 그리고서 파리로 돌아갔다. 며칠 후 짐을 싸서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를 탔다. 그때 내게 세상의 끝은 파리였는데, 그 말을 믿어주지 않을 사람들에게 대신 전해줄 좋은 이야깃거리가 생겼다고 생각했다.

내게 이 작업은 <세상의 끝>에 다녀온 경험과 유사하다. 처음 작업 의뢰를 받았을 때만 해도 이렇게 몸집을 키워 나갈 것이라고 미처 예상하지 못했다. 시간이 지날수록 두려움이 커졌다. 작업자인 나조차 쉽게 이해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해 이야기하느라 며칠 밤을 지새웠는지 모르겠다. 엄마를 논하기 위해 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지, 이런 방식의 글쓰기가 인터뷰이의 삶을 몇 자로 축약해버리는 것은 아닌지 혹은 실제보다 더 감상적으로 굴어 확장해버리지는 않는지. 그런 것들이었다. 이후 나는 이런 판단을 내렸다. 결과물을 내기에 앞서 이유를 고민하기보다, 이와 같은 우려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원칙을 세우자고. 첫 번째는 이미 공고한 가치에 동조하는 이야기는 쓰지 않겠다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쓸데없는 위로와 감상적인 말로 지면을 채우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를 지키고자 최대한 노력했지만, 백 퍼센트 성공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작업에 대해 스스로 던졌던 질문에는 답을 찾지 못했는데, 내가 걷지도 않고서 세상의 끝에 가고 싶었던 진짜 이유를 찾게 되었다. 세상의 끝은 나의 끝이며, 내가 끝나면 세상도 끝난다. 2016년 세상의 끝에 이른 기분이었던 나는 다른 사람의 끝도 보고 싶었다. 쉰내, 타오르는 연기, 조용한 울음 소리 같은 장면. 그 속에서 이야기를 읽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아름다운 도시가 세상의 끝이었다고 말하면 믿지 않을 사람들이 너무도 많아서, 다른 이야기를 빌려 와야 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인터뷰를 받아보고, 그들의 삶을 다시 이야기로 쓰면서 가장 힘들었던 점은 우습게도 얼굴 한 번 마주보지 못한 그들을 너무나 사랑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 마음이 여태 나를 힘들게 한다. 때문에 바라건대,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글을 덮어놓았으면 한다. 나는 당장의 내가 더 쓸 수 없을 때까지 썼다. 각각의 이야기들이 닿을 수 있는 끝에 이르렀기를 바란다. 그 자리에서 다시 삶이 시작되었으면 좋겠다. 모든 인간의 삶은 구술된 이야기를 넘어 실재한다. 나는 이야기를 사랑하지만, 애석하게도 그것이 인간을 구원할 수는 없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이야기가 된 삶은, 특히 기이하고도 독특하고 불가해한 삶에 대한 이야기는 힘을 갖고 있다. 누군가 그들의 삶 혹은 이야기를 읽었을 때, 당장은 아니더라도 언젠가 이해해보려는 용기가 생기기를 바란다. 용기는 의지로, 의지는 삶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므로.

 “내 삶도 이야기고, 네 삶도 이야기야. 성경도 이야기야. 모든 걸 이야기라고 생각하렴. 사람은 이야기가 있으면 살 수 있단다.”어느 오후에 그 말을 들었다. 지금의 내 기분을 그것보다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말이 없어서, 빌려올 수 밖에 없었다.

 

반응형

'Apostles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6  (0) 2018.05.30
No.2  (0) 2018.03.02
No.1  (2) 2018.03.02
No.4  (0) 2018.03.02
No.3  (0) 2018.01.22

1997년, 어느 일요일의 일기.

 


오늘 성당에서 편지 한 통을 받았다.

 

자매님, 그러다 벌 받아요.
당장이 아니더라도 언젠가는 받아요. 


 내용만 따지고 보면 편지랄 것도 없는 작은 쪽지였다. 하얀 편지지에 두 문장만이 적혀 있었다.
그 문장을 제외하고서는 너무나 공허한 여백이 있었다. 그 공백은 말하고자 한 것보다 더 많은
무언가를 설명해주는 듯 했다. 모래사장에 적힌 다잉 메시지처럼, 목울대에 걸려 터져 나온 마지
막 유언처럼 정제되어 순수하고 솔직한 말. 많은 것을 적으면 정작 중요한 말은 뒤로 숨는다. 사
라진다. 삼키게 된다.
 나는 그런 말이 그리웠다. 그래서 ‘벌 받아요’, 가 천박한 조언이 아니라 순수한 말이라고 느껴
졌다. 어쩌면 나는 평생토록 그런 것을 지나치게 그리워하며 살았는지도 모른다. 그 미친 광신도
여자가 왜 그런 편지를 전해 주었는지는 알고 있다. 그녀는 우리 아이를 진지하게 걱정하고 있다.
아이는 요즘 종이 접기에 빠져 있다. 미사를 보면서도 열심히 종이만 접는다. 그 여자는 그것을
걱정한다. 나는 아이가 열심히 접은 육식 공룡, 외계인의 얼굴과 같은 것을 하나하나 펴 본 적도
있었다. 이제는 멸종되었거나 인간의 상상 속에서나 존재했던 것들. 그 안에 무엇이 적혀 있을까
봐, 나 또한 두근거렸던 적이 있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그 애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런 애가 아니다. 끔찍할 때가 있다. 사람들
머리에서 상상해낼 수 있는 최악의 상 같은 것이 얼마나 초라한 것인지 떠올려보면. 그 애는 그
런 애가 아니다. 지독하게 핍진하지만 슬프도록 조촐한 경험이 만들어낸 상상. 그 속에 갇혀버린
아이는 악을 쓰고 절규한다. 아이가 접은 어떤 것에도 활자는 적혀 있지 않았다. 그저 죽어 없어
진, 있지도 않았던 생물들의 외양을 모방한 것이 전부였을 뿐이다.
 그러한 상상이야 말로 죄악일 것이다. 가장 뻔한 것을 두려워하고 경계하는 인간이기에, 그런
상상을 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같은 신을 믿는 우리는 신이 두려워하라고 가르친 죄악을 더 당
당히 저지르며 산다.
 나는 아이가 무언가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다고, 믿고 있다. 믿고 싶다. 그래야만 한다. 언젠가
아이가 원하는 색의 종이가 없어서, 내가 주말 저녁 연 가게들을 샅샅이 뒤져 색종이를 찾을 때
였다. 나를 사랑하는 이는, 내가 나의 아이를 위해 하는 행동을 마음 아파하며, 아이에게 원망의
말을 울부짖었다. 너는 뭐가 도대체 그렇게 힘들다는 거니, 왜 그렇게 죽을 듯 악을 쓰고 우는 거
니. 그들이 그리하는 것도 이해한다. 나는 그렇게 답했다. 그것은 그 아이의 죄가 아니라 나의 죄
라고. 누구도 그것을 죄라 말하지 않아도, 나는 그것이 나의 죄임을 안다고.
 아이가 접은 종이 안에 내가 잃어버린 줄도 모르고 잃어버린 것이, 그리워하는 줄도 모르고 그
리워한 것들이 있다. 아이가 그것을 그만두면 나는 아이가 죽은 것처럼 울지도 모른다. 아이가 완
전히 종이접기에 질릴 때까지, 끝까지 해냈으면 좋겠다. 죽어 없어진 것들을, 정말 있다면 대부분
의 인간이 졸도해버릴 만큼 무서운 것들을 접는 일을.
 요즘은 쉽게 잠에 들지 못해 아침까지 죽어라 버티다가, 낮에 쪽잠을 잔다. 그럴 때면 항상 같
은 꿈을 꾼다. 언젠가 친한 언니가 말해준 일과 유사한 꿈이다. 도저히 아이들을 키워낼 자신이
없어 죽으려고 떠났다던 드라이브. 그녀는 기어코 행하려 했던 바를 해내지 못했다. 대신 뒷자리
에서 잠든 아이들을 부둥켜 안고 엉엉 울었다고 했다. 드라이브 대신, 꿈 안의 나는 아이를 업고
광활한 모래사장을 내달린다. 거칠고 뜨거운 모래가 발을 할퀼 즈음, 속옷 안까지 파고든 모래 때
문에 온몸이 미친듯이 가려울 즈음. 등에 업은 아이를 모래 사장 위에 살포시 내려놓는다. 아이는
눈을 뜨고 있다. 눈꺼풀 위에 수북이 쌓인 모래 때문에 시뻘개진 내 눈을 마주 보고 있다. 바라만
본다. 무슨 말이라도 할 것처럼, 더듬더듬 입을 움직인다. 그러나 아무 말도 하지 못한다. (*)

 

반응형

'Apostles2018'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기  (0) 2018.05.30
No.2  (0) 2018.03.02
No.1  (2) 2018.03.02
No.4  (0) 2018.03.02
No.3  (0) 2018.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