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내가 뭘 하냐고 누가 물으면, 아마 나는 희곡을 쓰고 있다 혹은 연극을 한다, 그렇게 답할 것이다.

 

 

희곡으로 전향한지는 이제 일년 남짓 되어간다. 레이조스 에그리의 희곡작법을 보면-꼭 그것을 읽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극작술에 따르면-모든 연극은 '생의 전환점'에서 시작한다. 인물들 중 적어도 한 명은 지금 이 무대에서 생이 위태로워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극적 순간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것이 희곡을 쓸 때 재능이라면 재능이다. 소설에서 희곡으로 돌린 가장 큰 이유는 이것때문이었다. 내가 쓰는 소설의 지엽적인 문제, 그것의 구질구질함이 너무도 싫었다. 진심을 다한 작품이었는데 내가 읽기에도 구질구질했다. 그런 식으로 쓰는 사고가 너무도 굳어져버려서, 이제는 다른 방식으로 쓰는 것이 불가능할 것 같았다. 더 큰 이유는 작가가 되기 위해 그 구질구질함을 버릴 수가 없었다. 나는 왜 쓰는가, 그 문제가 글을 쓰는 사람의 평생 화두라면..., 나는 나라는 인간의 찌질함과 지엽적인 문제들을 쓰기 위함이었다. 이것을 쓰며 작가가 될 수 없다면, 이를 바꾸는 것이 아니라 작가가 되지 않는 것이 차라리 나은 일이었다.

 

 

연극을 공부하면서, 나는 이제껏 만난 인생의 전환점들을 다시 발견하게 되었다. 이내 우스운 사실을 깨달았다. 나는 이제까지의 삶에서 거의 매순간을 인생의 전환점처럼 여겨왔다. 고등학교 입학도, 대학교 입학도, 한때 만난 사람들도, 프랑스행도, 어떤 수업들도, 하물며 술에 취해 처음 만난 사람과 나눈 대화까지도. 언젠가 친구 W가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중학생 때부터 나를 봐오신 W의 어머니가, 나는 표정만 보아도 너무 많은 생각을 하고 사는 것 같다는 말을 하셨다고. 나도 이런 내가 싫었다. 남들이 쉽게 생각하는 문제는 며칠을 고통스러워하고, 남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문제는 너무도 터무니없이 결정했다. 얼마 전에는 그런 생각도 들었다. 사실 나는 항상 연기를 하고 있는 건 아닐까 하는. 모든 순간이 생의 전환점이라고 착각하면서 아무도 찾지 않는 무대위에서 열과 성을 다해 연기하고 있다고. 나와 내 친구들 내 또래까지 모두 너무도 연기에 능하다고. 이제까지 우리의 삶이 모두 연기와 사기로 점철되어있는 것은 아닌가. 너무 무섭지만.

 

 

연기를 하는 매순간 나는 생의 전환점에 있었다.
남들 다 가는 대학에 가보려고, 혹은 일이라도 한번 해보려고, 씨발 그놈의 돈 좀 벌어보려고. 그렇게 노력했던 매 순간에 나는 연기를 해야 했다.

 

 

얼마전 면접을 본 곳에 나는 내 장점을 '한계를 아는 것'이라 말했다. 여자고, 지방 출신이고, 돈 없고, 너무도 오래도록 나였기에 지긋지긋한 나의 특성들, 어쩌면 절대로 변하지 않을 수 있는 것들이었다. 어른의 조건은 자기 한계를 아는가와 직결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절대로 변하지 않는 것들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아는 것. 그렇지만 자기 한계 또는 바닥에서 무언가를 시작하는 데에서는 항상 위대함이 피어난다고, 여전히 그렇게 믿는다. 그렇지만 그곳에서는 나의 맥락을 읽어주지 않았다. 외려 내게 컴플렉스가 있느냐고 물었다. 비참했다. 내 인생관이 저급한 것으로 치부되는 순간이었다. 너의 자기소개는 니가 글에 갖는 애착이 너무 크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나는 그렇다고 답했다. 나는 여기에 대단한 일을 하러 온 것이 아니라, 일을 하고 싶다고 했다. 내가 나의 장점이라고 생각한 것들이 모두 약점이 되는 것 같아 방어기제처럼 튀어나간 말이었다. 하지만 사실이다. 어차피 세상 모든 일이 힘들다면 조금이라도 덜 힘을 들여서, 그냥 내가 잘할 건덕지가 조금이라도 있는 '일'을 하기 원했다. 무지 재수없었을 것이다. 혼자 고고한척 한다고 생각했을 지도 모르겠다. 그것이 그들과 내가 함께 일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학교 선배 H는 우리 그냥 글을 쓰자 그리고 세속적인 불안은 억지로라도 버리자고 말했다. 그리고 그 면접본 새끼들 그냥 다 존나 붕어빵 기계로 사람 찍어내는 새끼들이라고 욕해주었다. 친구 W의 앞에서는 울었다. 갈수록 나는 내가 되고 싶지 않은 사람이 되어가는 것만 같다면서 쌀국수를 앞에 두고 정말 추하게 울었다. 친구 S와도 라멘을 먹다 비슷한 대화를 했다. 우리가 결국 가장 하고 싶지 않았던 것을 하게 된 것은 아닐까. 또다른 친구 J와는 대학원 문제에 대해 길고 지진한 대화를 나누었다. 우리 참 잘하는 것이 많았는데, 이제 그게 자랑이 아니라는 이야기를 했다. 친구 D와는 전어를 먹었다. 미술이랑 소설이랑 뭐가 더 돈이 안되는지, 어디가 더 밥벌이하기 힘든지 얘기하면서.

 


연기를 잘해야 살아 남는다. 그리고 연기를 잘한다는 것은 그리 나쁜 것도 아니다. 그만큼 누군가의 감정과 삶에 대입하는 공감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나는 연기를 한다. 아니, 나는 사기를 친다.
내 삶에 대해서도, 고등학생들의 자기소개서를 첨삭해주면서도. 돈을 받고 하는 일이었지만 학생들의 합격은 내게 늘 자랑이었다. 그들과 그들의 가족에게 기쁨을 줄 수 있었고, 나또한 내 능력을 증명받는 것이었으니. 하지만 만약 누군가 그 능력이 무엇이냐고 묻는다면, 나는 비참하게 사기, 라고 답해야할 것이다. 적지 않은 돈이 오고가는 이 시장에서, 누군가가 절박함으로 지불한 돈은 어디로 들어가는지 궁금하다. 모두가 연기를 하는데, 출연료는 누가 받고 있는지 모르겠다.

 

 

'To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607  (0) 2021.06.07
BEEP, What's your mcbeef?  (0) 2020.12.29
20180512 Rhodes @홍대 롤링홀  (1) 2018.05.12
20180407 오후 네 시  (0) 2018.04.09
「당신 자신과 당신의 것」, 그리고 어떤 날의 깨달음  (0) 2017.10.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