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또한 내가 파리에서 보낸 시간들을 대책없이 미화하고, 가끔은 진한 향수에 시달릴 때가 있으나, 오늘 나보다 더한 사람을 만났다. 두산아트센터에서 오늘 막을 올린 생각은 자유>를 통해서였다.

 

 

작/연출을 맡은 김재엽 씨의 1년간의 베를린 체류기는 말그대로 엉성한 콜라주의 밭이다. 자신의 극에서 연극의 책임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우습게도 극 내에는 그다지 책임감 없이 던지는 이미지들이 난무한다. 세월호, 1113 파리테러, 위안부 나눔의 집 이야기까지. 바깥에서만 보이는 안의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는 희망이 다소 과했다. 또한 안의 문제를 이야기하고자 바깥의 문제를 감상적으로 다루는 것, 영감으로서 활용(사실 이용이라고 말하고 싶다)하는 것이 용인될 수 있는 문제인가도 의문이다.

 

 

이런 문제들이 극에 대두될 때, 배우이면서 인간 자신이기도 한 예술가는 필연적으로 한없이 진지한 태도를 갖게 된다. 결의 넘치는 표정을 배우가 짓도록 만드는 예술가의 책임은 보다 막중하다. 내가 보았다고, 그래서 하고싶다고 막 올려서는 안 된다. 당연하게도. 또한 장장 130분의 러닝타임에서 배우들이 대사를 주고 받을 때, 몇 차례 어색한 침묵이 있었다. 그것은 초연이기 때문일 수도, 혹은 대본의 문제일 수도 있는데, 본인은 후자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애초에 이 극이 구사하는 언어가 연극의 언어가 아니며, 어떠한 인물도 그 자신으로서 존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극이 오늘 보여준 침묵은 작가 자신의 독백, 혼잣말, 일기의 문장, 그 낱낱의 문장들 간에 메우지 못한 틈새다. 한 인물과 다른 인물의 말은 갈등도 긴장도 이루지 못한다. 영원히 충돌하고 항상 화해하는 자기 자신의 생각이므로. 배우들의 대사가 꼬이는 것도 마찬가지다. 나는 배우들이 말을 씹는 횟수를 심지어 세아려 보았는데, 정확히 바를 정자가 두 번이나 완성되고 삼 획을 더 그었다. 한 인물의 말버릇이 아니라, 극 전반 배우들이 고루 그러했다. 침묵, 말더듬기. 이것이 인물의 성격 형성에 도움을 주기는 커녕, 그냥 이 연극 자체의 성격이 침묵과 말더듬기가 되어버린 것이다.

 

 

 

 

관객은 창작자의 기대보다 훨씬 더 똑똑하다. 그리고 그들은 세계시민 난민 이주민-소위 디아스포라에 대해 알고 싶은 내용이 있었다면, 차라리 책을 읽을 것이다. 어떤 이야기는 그것이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한 형식을 스스로 찾아간다.

 

 

오늘 극장에서 벌어진 일은 이것이 연극이 될 수 없음을 증명했다. 교수님은 독일 체류기에 관한 강연 혹은 극작스플레인을 하셔도 될텐데 구태여 연극을 올리셨을까. 사람이 꼭 하던 것으로 보여주어야 하는가, 뭐 생각은 자유라면 할말 없다. 연극이나 똑바로 해야할 텐데. 아 정말, 그러게나 말이다. 극에서 파독 간호사와 재독 간호사 간의 차이, 적확한 언어 사용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는 대목이 있다. 나는 나라가 보낸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해서 왔소. 그래서 파독이 아니라 재독이오. 손님이 아니라, 주인으로서 여기 살아있고 싶어요. 1년이라는 체류 기간의 한계일까, 혹은 모든 것을 소중히 여기는 스타일인걸까. 다 모아서 태우고 그 잔해에서 시작해도 모자랄 텐데 이것들을 모아다 꼴라쥬를 시도하다니. 그 따뜻한 마음은 어떻게 이해해보겠으나, 오늘의 극은 아무리 생각해도 파독형 극작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겠다. 심지어 제 발 지린 대사도 있었다. 대본은 안 쓰고, 자기에 대한 성찰을 한 거네? 유감스럽다. 프로라기엔 상당히 치사한 전략이다.

 

 

 

 

+ Recent posts